메뉴 건너뛰기

국립부경대학교 총동창회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LUMNI ASSOCI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lumni Association 부경! 세계로 향한 날개!

커뮤니티

Community

서브메뉴

서브 퀵메뉴

모교소식

국립부경대-한양대, ‘잡음으로 이미지 생성 성능↑’ 역발상 연구 ‘주목’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4회 작성일 25-07-07 13:33

본문

국립부경대-한양대, ‘잡음으로 이미지 생성 성능역발상 연구 주목

- 이종접합 기반 확률 제어 트랜지스터 소자 개발 <Advanced Materials> 게재

 


국립부경대학교 이은광 교수(화학공학과) 연구팀과 한양대학교 유호천 교수(융합전자공학부) 연구팀이 이종접합 기반 확률 제어 트랜지스터 소자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잡음(noise)을 증폭시켜 오히려 이미지 생성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새로운 원리를 제시했다.

 

공동연구팀은 폴리머 기반 이종접합 구조를 도입해 정공과 전자의 주입 불균형에 의해 자발적으로 형성되는 음의 트랜스컨덕턴스(NTC) 특성을 구현했다. 또 내부 잡음에 의해 확률적 도핑(de-doping)이 유도되며, 이 과정이 이미지 생성 정확도를 높이는 중요한 매커니즘이라는 것을 처음으로 입증했다.

 

이 연구는 최근 분산 컴퓨팅 패러다임인 컴퓨팅(edge computing)과 생성형 AI의 발전에 따라 하드웨어 수준에서 확률성과 비선형성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신소자 연구가 주목받는 가운데 나온 역발상 연구로 주목된다.

 

인간 두뇌의 시냅스처럼 예측 불가능성을 품은 확률 기반 트랜지스터는 에너지 효율성과 기능적 다양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유망한 차세대 소자 기술이지만, 기존 확률성 소자는 잡음을 억제, 회피하는 방식이 일반적이고, 이를 능동적으로 활용한 소자는 드물다.

 

이번 연구는 잡음이라는 물리적 현상을 제거 대상이 아닌 계산 자원으로 활용하는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특히, 차세대 생성 AI 시스템, 에지 디바이스 및 인지형 센서 소자에 이 기술이 접목될 경우, 저전력·고효율 연산 구조 실현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은광 교수는 이번 연구는 유기 반도체의 구조적 장점과 비선형 확률성을 동시에 활용한 창의적인 시도로, 노이즈 제어 기반 하드웨어 AI 시스템의 상용화 가능성을 크게 앞당길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차세대 비선형 연산 소자 및 생성 AI 하드웨어 분야의 획기적 돌파구로 평가된다.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 ‘Heterojunction-driven stochasticity: BHJ noise-enhanced negative transconductance transistor in image generation’은 재료과학 및 응용전자 분야의 세계적 학술지 <Advanced Materials>(IF: 26.8, JCR 상위 2.2%)에 최근 게재됐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개인기초연구사업 및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AI 반도체 핵심인재 양성사업(IITP)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붙임 사진: 이은광(왼쪽), 유호천 교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협약처-부경대총동창회 회원카드 협약처-은성의료재단 협약처-누네빛안과 협약처-온종합병원 협약처-시민장례식장(본점) 협약처-부산백병원장례식장(지점) 협약처-해운대백병원장례식장(지점) 협약처-부산센텀병원 협약처-서부산센텀병원 협약처-부산미주치과병원
협약처-부산성소병원 협약처-남포고운피부과의원 협약처-삼성메디컬치과 협약처-라인업치과의원 협약처-더팻텔 협약처-강동병원 협약처-정근안과병원 협약처-이샘병원 협약처-엔노블 협약처-더조은의원
협약처-KMI한국의학연구소 협약처-와이투어앤골프 협약처-해운대씨클라우드호텔 협약처-늘곁애라이프온 협약처-해운대플레아드블랑호텔 협약처-잇다렌탈(흐름온) 협약처-신제주유람선 협약처-더존한방병원 협약처-서울메디컬 협약처-플란치과병원